❏ 홍주이 씨 문과방목(과거 급제)
◆ 이종규(李宗奎)
本頁(본관) 홍주(洪州)이며, 경기 출신으로 1543년 중종 38년 계묘식년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군수 갑오진(郡守甲午進)과 기주관(記注官)을 지냈으며, 자(字)는 문중(文仲)이며, 부친은 이결(李潔)이며, 장인은 유세응(柳世應)이다.
◆ 이무일(李無適)
本貫(본관)은 홍주(洪州)이며, 평양 출신으로 1573년 선조 6년 계류식년시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15직역한감정모품을 지냈으며, 자(字)는 경부(敬夫)이며, 부친은 이학령(李鶴齡)이다.
◆ 이행도(李行道)
本頁(본관) 홍주(洪州)이며, 강동 출신으로 1684년 숙종 10년 갑자식년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현감 봉첨(縣監 奉僉)을 지냈으며 자(字)는 제경(濟卿)이며 부친은 이만기(李萬機)이다.
◆ 이구정(李龜禎)
本買(본관)은 홍주(洪州)이며, 홍주 출신으로 1721년 경종 1년 신축식년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禮正(례정)를 지냈으며, 자(字)는 락서(락서)이며, 부친은 이연로(李延老)이다.
◆ 이인적(李仁適)
本頁(본관) 홍주(洪州)이며, 은산 출신으로 1804년 순조 4년 갑자식년시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장령(掌令)을 지냈으며, 자(字)는 양중(양중)이며, 부친은 이승?(李承?)이며, 외조부는 이현제(李賢濟)이다.
◆ 이인승(李仁录)
本頁(본관) 홍주(洪州)이며, 평양 출신으로 1813년 순조 13년 계유증광시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경력장령기시원을 지냈으며, 자(字)는 덕여(德如)이며,, 부친은 아춘함(李春涵)이며, 외조부는 김윤휘(金潤煇)이다.
◆ 이철남(李喆南)
本頁(본관) 홍주(洪州)이며, 평양 출신으로 1852년 철종 3년 임자식년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장령(掌令)을 지냈으며 자(字)는 중숙(仲叔)이며, 부친은 이석환(李錫煥)이며, 외조부는 김태지(金泰祉)이다.
◆ 이도남(李道南)
本買(본관)은 홍주(洪州)이며, 1811년 신미(순조 11년) 출생으로 제주 출신으로 1859년 철종 10년 기미증광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예좌(禮좌)를 지냈으며, 자(字)는 도안(道安)이며, 부친은 이?환(李?煥)이며, 외조부는 한형조(韓亨祚)이다.
◆ 이익하(李益河)
本貫(본관) 홍주(洪州)이며, 평양 출신으로 1885년 고종 22년 을유정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자(字)는 덕삼(덕三) 미며, 부친은 이종호(李建造)이다.
❏ 홍주이 씨 사마방목
◆ 이채(李業)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진백(鎭伯), 거주지는 미상(未)으로 졸연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447년 세종(世) 2년 정묘(丁卯)년 정기시 : 식년시 (式年試) [생원]에 3등(三等) 53위로 합격하였다.
◆ 이향손(李香孫)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거주지는 미상(未詳)으로 생졸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483년 성종(成宗) 14년 계묘(癸卯)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35위로 합격하였다.
◆ 이흥무(李興茂)
본관은 홍주(洪州), 거주지는 영천(永川)으로 생졸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501년 연산군(燕山君) 7년 신유(辛酉)년 정기시 : 식년시 (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14위로 합격하였다
◆ 이팽먕(李彭命)
본관은 홍주(洪州) 자(子)는 덕로(德老). 거주지는 결성(結城)으로 1532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전시시한 1561년 명종(明宗) 16년 신유(辛酉) 비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12위로 합격하였다.
◆ 이성춘(李成春)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중인(仲仁) 거주지는 남원(南原)으로 1517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555년 명종(明宗) 10년 골모(乙)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생원]에 3등(三等) 42위로 합격하였다.
◆ 이점(李漸)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경진(景進), 거주지는 남원(南原)으로 1559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591년 선조(宣祖) 24년 신모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생원]에 2등(二等) 10위로 합격하였다.
◆ 이실(李實)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자허(子虛), 거주지는 남원(南原)으로 1587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생원사인 1624년 인조(仁祖) 2년 갑자년 비정기사 : 증광시(增廣試) [생원]에 1등(一等) 4위로 합격하였다.
◆ 이징(李徵)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형원(泂遠), 거주지는 진안(安)으로 1662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진사시민 1689년 숙종(唐宗) 15년 기사(己巳)년 비정기시 : 증광시(增廣試) [진사]에 2등(二等) 16위로 합격하였다.
◆ 이섭규(李燮奎)
본관은 홈주(州)이며 자(字)는 서모(瑞五). 거주지는 임실(任實)로 1817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민 1852년 철종(哲宗) 임자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23위로 합격하였다.
◆ 이암(李馣)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덕형(德馨) 거주지는 평양(平壤)으로 생졸은 미상이다. 생원시민 1510년 중종(中宗) 5년 경오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생원]에 3등(三等) 15위로 합격하였다.
◆ 이팽명(李彭命)
본관은 홍주(洪州) 자(子)는 덕로(德老). 거주지는 결성(結城)으로 1532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전시시한 1561년 명종(明宗) 16년 신유(辛酉) 비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12위로 합격하였다.
◆ 이종규(李宗麦)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문장(文件), 거주지는 한성으로 생졸은 미상이다. 진사시민 1534년 중종(中宗) 29년 갑오(甲午)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65위로 합격하였다.
◆ 이운기(李雲起)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종룡(從龍) 거주지는 한성([京])으로 1534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564년 명종(明宗) 15년 갑자(甲子)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44위로 합격하였다.
◆ 이준(李遵)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정숙(正淑), 거주지는 보은(報恩)으로 생졸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543년 중종(中宗) 30년 계묘(卯)년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7위로 합격하였다.
◆ 이무일(李無逸)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경보(敦夫), 거주지는 공양(平壤)으로 1544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567년 선조(宣祖) 미상년 정묘(丁卯)년 정기시 : 식년시 (式年誠) [생원]에 3등(三等) 61위로 합격하였다.
◆ 이천배(李天培)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자후(子厚), 거주지는 개성(開城)으로 1554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591년 선조(宣) 24년 신묘(무)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생원]에 2등(二等) 7위로 합격하였다.
◆ 이정욱(李延項)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근지(謹之), 거주지는 풍덕(豊德)으로 1595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616년 광해군(光海君) 6년 병진 비정기시 : 증광시(增廣試) [진사]에 2등(二等) 21위로 합격하였다.
◆ 이문규(李文圭)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성경(星卿) 거주지는 개성(開城)으로 1613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635년 인조(仁祖) 13년 을해(乙亥)년 비정기시 : 증광시(增廣試) [진사]에 2등(二等) 10위로 합격하였다.
◆ 이태석(李台露)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택경(宅卿) 거주지는 재령(載寧)으로 1630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652년 효종(李宗) 3년 임진(王)년 비정기시 : 증광시(增廣試) [진사]에 3등(三等) 26위로 합격하였다.
◆ 이태제(李台酒)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거주지는 재령(載寧)으로 1629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전사시민 1650년 효종(孝宗) 1년 경인년 비정시시 : 증광시(增廣試) [진사]에 3등(三等) 48위로 합격하였다.
◆ 이인첨(李仁瞻)
본관은 홍주(洪州), 거주지는 평양(平壤)으로 1725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765년 영조(英祖) 41년 을유(乙酉)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2위로 합격하였다.
◆ 이국창(李國昌)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군보(君君), 거주지는 한성([京])으로 1740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777년 정조(正祖) 1년 정유(丁酉)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29위로 합격하였다.
◆ 이인승(李仁承)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덕여(德汝), 거주지는 평양(平壤)으로 1761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809년 순조(純祖) 9년 기사(己巳)년 비정기시 : 증광시(增廣試) [생원]에 1등(一等) 1위로 합격하였다.
◆ 이윤중(李允中)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경집(敬執), 거주지는 강화(江華)로 1768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798년 정조(正祖) 2년 무오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2위로 합격하였다.
◆ 이현즙(李玄機)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치원(稚源), 거주지는 평양(平壤)으로 1775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809년 순조(純祖) 9년 기사(己巳)년 비정기시 : 증광시(增廣試) [진사]에 3등(三等) 4위로 합격하였다.
◆ 이석배(李錫培)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여숙(汝汝), 거주지는 강동(江東)으로 1795년에 태어났으나 풍년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822년 순조(純祖) 2년 임모(포수)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생원]에 3등(三等) 66위로 합격하였다.
◆ 이인휘(李仁徽)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순오(舜五). 거주지는 평양(平壤)으로 1814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840년 헌종(憲宗) 6년 경자(庚子)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35위로 합격하였다.
◆ 이인효(李仁斅)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유행(幼行), 거주지는 평양(平樣)으로 1830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870년 고종(高宗) 7년 경오(庚午)년 정기시: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23위로 합격하였다.
◆ 이종섭(李鍾燮)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字)는 치강(䆈强). 거주지는 평양(平壤)으로 1833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873년 고종(高宗) 10년 계유(西)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24위로 합격하였다.
◆ 이종연(李鐘㶜)
본관은 홍주(州)이며 자(字)는 경안(景顔), 거주지는 평양(平壤)으로 1837년에 태어났으나 졸연은 미상이다. 진사시인 1861년 철종(哲宗) 12년 신유(酉)년 정기시 :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3등(三等) 61위로 합격하였다.
◆ 이인혁(李寅赫)
본관은 홍주(淸州)이며 자(字)는 중빈(仲賓) 거주지는 부안(扶安)으로 1854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미상이다. 생원시인 1874년 고종(高宗) 11년 갑을(甲戌)년 비정기시 : 증광시(增廣試) [생원]에 3등(三等) 15위로 합격하였다.
❏ 식년시 [式年試]
조선시대에 3년마다 정기적으로 시행된 과거시험. 조선시대 과거제도로 정기시를 말한다. 12지 가운데 자(子) ·묘(卯) ·오(午) ·유(酉)가 드는 해를 식년(式年)이라고 칭하며, 3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 이 해에 정기적으로 과거시험을 치렀다.
❏ 증광시 [增廣試]
조선시대 즉위경이나 30년 등극경과 같은 큰 경사가 있을 때 또는 작은 경사가 여러 개 겹쳤을 때 임시로 실시한 과거. 소과(小科)·문과(文科)·무과(武科)·잡과(雜科)가 있었다.
❏ 생원(生員)
생원(生員)은 조선시대 소과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이다. 고려 때 국자감 승보시 합격자를 생원이라고 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소과로서 생원진사시가 설행 되었다. 생원시에 합격하면 생원이라는 칭호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들은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하면서 대과인 문과를 준비하여 관직에 진출할 수 있었다. 반드시 문과에 합격하지 않더라도 생원, 진사는 음직에 나갈 수도 있었다. 관직에 나가지 않더라도 지방 사회에서 엘리트 계층으로 존경받았다. 생원은 진사와 더불어 행교나 서원 운영에 관여하였으며, 지방 사회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진사 (進士)
조선시대 소과의 하나인 진사시에 합격한 사람이다. 고려 때에는 과거에 합격한 이를 '진사'라 칭하였다. 반면 조선시대에는 관직에 진출할 수 있는 문과를 별도로 두고, 생원진사시에 합격한 이를 '생원', '진사'라 하고 이들에게 문과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더욱이 조선 전기에는 신유학의 학풍을 따라 경학을 중시하여 진사시가 일시적으로 폐지되기도 하였다. 진사는 문과에 응시하여 관직에 나갈 수 있었고, 음관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었다. 또한 지방의 엘리트 사족으로서 지방민 교화, 여론 형성 등 사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 진사와 생원(生員)과의 관계
진사와 생원(生員)과의 관계는 법제적으로는 우열이 없으나, 조선 초기에는 생원이 진사보다 우대를 받았다. 그것은 조선 초기에는 진사시가 없이 생원시만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되며, 실제 진사시가 생긴 초기에는 성균관에서 좌차(座次: 좌석의 차례)가 생원 말석에 진사가 앉은 것으로도 입증된다. 또한 고려 말 조선 초기에 주자학을 신봉하는 신진유학자들은 사장보다는 경학(經學)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사장 시험인 진사시보다 경학시험인 생원시가 중시되는 경향이었다.
'홍주이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희건(李希建). 본관은 홍주(洪州). 아버지는 홍평군(洪平君) 이종장(李宗張). 이괄의 반란군 격파(길마재, 현재 서울 안산 무학재) (7) | 2024.09.11 |
---|---|
문간공 이서께서는 3년 동안 조성한 석물. 정릉(貞陵). 청계천 광교(광통교) (3) | 2024.09.11 |
충주목사 이종장(李宗張). 탄금대 전투에서 왜군의 기습 공격을 받아 이종장과 아들 이희립(李希立)과 함께 전사 (5) | 2024.09.11 |
홍주이 씨 13세. 이길종. 남원 성산으로 입향하게 된 한 맺힌 사연 (4) | 2024.09.10 |
홍주이 씨(洪州李氏) 9세. 이기종(李起宗). 연경궁 제학(延慶宮 提學). 문강공 이서의 '자마풍간(子馬諷諫) (4) | 2024.09.10 |